본문 바로가기
computer

라우터 / 서브넷

by 유순이 2021. 7. 28.

라우터

 

역할

: 목적지의 IP 주소를 확인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네트워크 간의 패킷의 경로를 선택하여 전송

 

Static / Dynamic Routing

 

Routed : 라우팅의 대상, IP

 

 

인터페이스

: 통신용 & 관리용(콘솔)

관리용 >> 원격이 불가하거나 장애 시에 장비에 직접 연결할 때 사용

 

 


서브넷 마스크

 

개념

: 서브넷 (부분망)

할당된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쪼개어 구성한다.

 

이러한 행위를 '서브넷 마스크'라고 한다.

네트워크 별 첫 번째와 마지막은 사용하지 않는다 >> 처음은 네트워크 영역을 알려주는 곳 / 마지막은 브로드캐스트 주소

 

211.109.131.0~7 을 사용한다 >>> 211.109.131.0/29로 표현

상세

디폴트 게이트웨이: 다른 네트워크로 패킷을 전송할 때 필수로 거쳐야하는 거점

 

A class : 255.0.0.0 /8 (비트를 의미하고 이 수(prefix)가 커질 수록 호스트 수는 작아진다)

B class : 255.255.0.0 /16

C class : 255.255.255.0 / 24

>> Prefix는 1의 개수를 의미한다. 255를 2진수로 바꾸면 1의 개수가 8개 

 

 

계산법

2진수/ 1인 부분 네트워크, 0인 부분은 호스트

패스트 캠퍼스

255.255.255.0은 호스트 영역 "0"이 8개이기에 2의 8승, 즉 256개의 IP를 할당한다. 

209.217.12.0/24로 표현

/24 = 256

/25 = 128

/26 = 64

/27 = 32

/28 = 16

 

http://www.subnet-calculator.com


라우터 동작 방식

 

Static

: 일반적, 수동으로 경로를 라우터에 설정하여 패킷 처리

경로는 라우팅 테이블에 목적지 IP 주소 & 인터페이스 정보를 설정

 

각 PC에 정적 라우팅 설정

각 PC의 경로는 1개로, 자신의 대역을 제외하고 디폴트 게이트웨이(인접한 라우터)만 경로 설정한다.

패스트 캠퍼스
패스트 캠퍼스

 

동작 방식

Hop & TTL

 

Hop: 소스와 목적지 간의 경로

TTL (Time to Live): 패킷이 폐기되기 전까지 hop 카운트

 

Traceroute:

Tracert:  

 

 

Dynamic

'compu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계층  (0) 2021.07.28
Looping / STP / RSTP & MST  (0) 2021.07.28
스위치 / ARP  (0) 2021.07.27
데이터 링크 계층  (0) 2021.07.27
물리 계층 장비  (0) 2021.07.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