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파일 된다 >> 인간이 만들어낸 코드에서 컴퓨터가 이해하는 0과 1로된 코드로 변환한다.
프로세스의 구조
STACK :
3. return값, 인자 값들(뒤 부터) 저장 > 뒤부터 (인자값들 부터) 사라진다.
return adress는 pc값을 해당 값으로 바꾸고 저장된 값을 삭제한다.
HEAP :
4. 특정 동적 메모리 공간 생성 ( molloc() )
DATA :
2. 변수 선언 (전체 컴파일 시에 코드 파악 후 만들어 놓는다.)
CODE :
1. 컴파일된 소스코드가 정의되어 있다.
'compu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세스와 컨텍스트 스위칭 - 프로세스 구조와 컴퓨터 구조 2 (0) | 2021.06.19 |
---|---|
프로세스와 컨텍스트 스위칭 - 프로세스 구조와 컴퓨터 구조 (0) | 2021.06.19 |
프로세스 스케쥴링 - 인터럽트 내부동작 (0) | 2021.06.18 |
프로세스 스케쥴링 - 인터럽트 2 (0) | 2021.06.17 |
스케쥴링 알고리즘 - 인터럽트 (0) | 2021.06.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