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puter79

우분투 리눅스 사용법 - AWS 클라우드 컴퓨팅 설정 1. EC2 (Instance) - 서버 컴퓨터 지칭 용어 2. Elastic IP - IP 생성 원래 동적 IP > 서버의 IP는 고정되어야 한다. 3. local PC에서 EC2(서버) 접속 2021. 6. 29.
LINUX의 역사 리눅스 : 서버 환경에 많이 사용되는 운영체제 프로그래밍 시에도 많이 사용되는 운영체제 운영체제, 소프트웨어의 대부 UNIX계열 운영체제 - 완전 프로그래머 스타일 Plain하게 프로그래밍 가능 - ANSI C - C 언어 표준 2021. 6. 28.
운영 체제의 이해 리눅스 운영 체제 구성 커널(OS) 시스템 프로그램(Shell) 응용 프로그램 Shell 사용자와 컴퓨터 하드웨어 / 운영체제 간의 인터페이스 :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여 커널에 명령을 요청 종류 Bourne-Again Shell (bash) : 리눅스 default, GNU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 Bourne Shell (sh) C Shell (csh) Korn Shell (ksh) : 유닉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 Process Management 응용 프로그램은 여러 process로 관리된다. process scheduler를 통해 프로세스 실행 / 종료 인터럽트 처리 를 수행한다. Memory Management 가상 메모리 - page 기반 메모리 관리 IO Device Management VFS.. 2021. 6. 26.
가상 머신 가상 머신 (Virtual Machine) :하나의 하드웨어 (CPU, Memory 등)에 다수의 운영 체제를 설치하여 개별 컴퓨터 처럼 작동하도록 하는 것 가상 머신 구현 방식에 따라 type1 / type2 생성 가상 머신을 구동시키는 하이퍼 바이저나 가상 머신 모니터(VMM)라는 소프트웨어를 하드웨어 위에서 구동시키는 것 하드 웨어 위에 이미 운영 체제가 설치되어 있고, 그 위에 가상 머신을 구동시키는 것 성능 빠를 가능성이 높다(구성에 따라 다르긴 해서) type1 > type2 각각의 가상 머신이 VMM을 거쳐서 하드웨어와 통신하는 경우 하이퍼 바이저가 마치 하드 웨어인 것처럼 동작하여, 가상 머신의 OS는 자신이 가상 머신인 것을 모른다. VMM은 리소스 관리만 해주며, 각각의 가상 머신의 O.. 2021. 6. 25.